시간 측정
import time
start_time = time.time() # 측정 시작
# 소스코드
end_time = time.time() # 측정 종료
print("time:", end_time - start_time)
실수형
# 소수부가 0일때 0을 생략
a = 5.
print(a)
# 정수부가 0일때 0을 생략
a = -.7
print(a)
# 지수표현방식 1e9 == 10^9
a = 1e9
# 752.5
a = 75.25e1
# 3.954
a = 3954e-3
- round()이용해 실수값 비교할때 오차를 줄일 수 있다.
print(round(123.456,2)) # 123.46 소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 파이썬에서 나누기 연산자(/)는 나눠진 결과를 실수형으로 반환한다.
- 다양한 로직을 설계할 때 나머지 연산자(%)를 이용해야 할 때가 많다.
- 파이썬에서는 몫을 얻기 위해 몫 연산자(//)를 사용한다.
'자료구조&알고리즘 > 이것이_코딩테스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_코딩 테스트_JAVA] 그래프-물의 양 구하기 (JAVA, PYTHON) (0) | 2024.03.18 |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파이썬 문법: 기본 입출력 (0) | 2023.11.06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파이썬 문법: 사전, 집합 자료형 (0) | 2023.11.06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파이썬 문법: 문자열, 튜플 자료형 (0) | 2023.11.06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파이썬 문법: 리스트 자료형 (0)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