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피그마 강의에서는 반복적으로 관리해야하는 요소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를 알아본다.
무엇이든 의미없는 반복작업은 금방 지치게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잘 배워서 반복을 줄이고 통솔하고싶다!
내가 피그마에서 돋보기를 컴포넌트라고 명령하면
아이콘이 오른쪽 사각 다이아가 네개 모인 모양처럼 변한다.
컴포먼트가 된 돋보기라는 요소는
레이어창에 오른쪽 그림과 같은 아이콘으로 표시되게 된다.
레이어 패널에서의 아이콘은 변경되었지만돋보기라는 속성값은 그대로 가지고있다.만약 컴포넌트로 명령된 개체를 복사 붙여넣기 하게된다면검색 아이콘으로 나오게 되고 이들을 인스턴스라고 칭한다고 한다.
베리언트는 메인 컴포먼트의 속성값을 세분화한 것으로
하나의 큰 틀 안에서 작은 차이점들을 종류별로 만들어두는 것 같다.
사이즈같은 미세한 변화로 메인 컴포먼트를 계속 만들어내면
똑같은 것이 여러개 나열되어 공간적으로도 비효율적인것 같은데
피그마에서는 그러한 현상을 없애줄 수 있을것 같다.
각 특징을 정리해보면 컴포넌트가 메인이고
이를 베리언트로 다양한 속성값을 정할 수 있으며
그에 종속된 인스턴스들을 반복해서 만들어낼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인스턴스의 수정 가능한 범위는 컴포넌트에서 베리언트 값으로 지정되지 않은 것들이라고 하는데
어쨌든 메인 컴포넌트에서 복사에서 나온것으로 수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스턴스는 그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수정 범위는 지정된 베리언트 값 외에는 자유롭다고 하니
완전히는 아니더라도 나름의 독립성을 가질 수도 있겠다.
위의 아이콘들로 레이어창에 구분되어 표시된다.
아이콘의 모양에따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설명이 잘 되어있는 것 같다.
반복작업을 줄이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속성값들도 지정해서 관리할 수 있어서
더 큰 효율성을 추구하는 피그마의 실용성에 감탄했다.
지치지 않고 빠르게 디자인을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메타코드를 통해 피그마를 알아가는 강의를 들으면서 느낀점은
이 프로그램이 얼마나 사용자들을 편리하게 하고자 고심하며 고안됐는지이다.
맨땅으로 헤딩하여 디자인을 시작했을때의 고민거리들이
한강의 한강의를 통해 하나씩 타파되는 느낌이란..
감사하며 오늘도 좋은 지식을 얻었다.
메타코드M
빅데이터 , AI 강의 플랫폼 & IT 현직자 모임 플랫폼ㅣ메타코드 커뮤니티 일원이 되시기 바랍니다.
mcode.co.kr
본 내용은 메타코드 Figma 서포터즈 강의 후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피그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도형 불리언 그룹 활용하기) (1) | 2024.02.15 |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면과 선의 속성 이해하기) (0) | 2024.02.14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섹션, 프레임, 그룹의 구조) (1) | 2024.02.13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개발자 모드 살펴보기) (0) | 2024.02.13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실습-기본적인 도구 사용해보기) (1)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