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881?language=python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Algorithm Idea 이전 배열에 연산 이전 값을 저장하고 연산후와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Python def solution(arr): answer = 0 idx = 0 prev = arr while True: change = [] for i in prev: if i > 50 and i % 2 == 0: change.append(i / 2) elif i ..
전체 글

오랜만에 재밌게 읽은 책이다. 이 책은 파격적으로 가짜 노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근본적 질문들을 던진다. 나는 요즘 내가 하고있는 일이 의미가 있는일인가? 내 바쁨이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의심과 생각의 꼬리물기에 빠졌다. 아무도 보지않을, 대충 훏어볼 격주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점수가 매겨지기 위해,채점을 위해, 조교가 참고할 보고서를 몇일을 밤새 작성하는등의 행위... 과연 의미가 있는가? 이 책은 그런 내 질문들에 답을 던져주었다. 가짜 노동에는 크게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빈둥거리기, 시간 늘리기, 일 늘리기, 일 꾸며내기. 이 책을 읽고 찔렸던 건, 나 또한 주어진 시간내에 맞추어 일을 행하는 일종의 가짜 노동자였다는 것이다. 과제 기한이 주어지면 충분히 빨리끝낼 수 있음에도 주어진 ..

저번 주 두번의 해커톤이 끝났다.해커톤을 나간 계기는 간단하다. 문득 대회 공지를 봤는데, 그냥 재밌어 보였다. 처음 보는 사람들과 하루이틀 동안 무언가를 협력하여 만들어 낸다는 것이 신기하고 멋져 보였다. 그리고 더불어, 반복되는 일상과 지침 속에 새로운 자극을 얻고 싶었다. 그래서, 나는 일주일에 두개의 해커톤을 신청하는...패기를 보였다..=_=... 해커톤을 참가하게 된 저번 주는 과제도 많고 면접도 있어 바쁘고 힘들었다. 팀플 플젝 마감이 두개에, 별도 과제에, 해커톤 준비에...정말 숨 돌릴 틈 없었다. 참, 면접은 탈락했다. 면접을 하며 회사와 내가 핏이 맞지않는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서,솔직히 예상한 결과이다. 탈락도 무뎌진다고... 실패에 과도한 의미부여는 잘 하지않는 성격이라 별 타격은..

🏴 우테코 프리코스 과제 4 - 크리스마스 프로모션 바빠서 지금에야 시작한다...주말엔 자격증시험에, 오늘까지 매일이 과제마감일에... 팀플에...OTL... 그래도 이번 우테코 과제 매우 재밌어 보인다 😲 실제 개발 업무 같다! 실제 업무처럼 이메일 형식으로 과제를 받는데, 이벤트 플래너가 되어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는 과제이다. 신과제라니, 멋지게 코딩해보자!!! 과제와 팀플을 끝내고, 새벽 2시 반에 시작하지만 힘차게 시작 🙂... 근데 이번 과제가 마지막이라 그런가,분량이 확 늘었다. 비공개 저장소에서 작업한다는 점도! 이번엔 정말, 3주동안 받은 피드백을 최대한 고려해서 혼자 생각해 코딩하라는 뜻이 담겨 있는 것 같다.😃 🪜 지난 과제 피드백 & 회고 이번 공통 피드백에서는 정말 꿀 정보들만 가득..

✔ 문제 006 숫자의 합 구하기 ⬜ 투 포인터 이동원칙 start_index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는 것은 연속된 자연수에서 왼쪽 값을 삭제하는 것과 효과가 같다. end_index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는 것은 연속된 자연수의 범위를 한 칸 더 확장하는 의미이다. 같을 때는 경우의 수를 1 증가시키고, end_index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sum > N : sum = sum - start_index; start_index++; sum < N : end_index++; sum = sum + end_index; sum == N : end+index++; sum = sum + end_index; count++; 문제 바로가기 💨 이 문제의 시간 제한은 2초이다. 그런데 N의 최대값은 10,00..

요즘 부쩍 드는 생각은 ... 돈이 많았으면 좋겠다.놀고싶다.하고싶은게 많다.이런것들보다, 시간이 많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잘쓰는 사람들이 너무 부럽다. 그리고 나 또한 그러고 싶어 노력중이다. 내게 주어지는 매 시간이 너무아깝고 소중하기 때문이다. 최대한 효율적으로, 나를 위해 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주변사람들을 위해 쓰고싶다. 배우고 알고 싶은건 많은데 시간이 한정적이라 참 아쉽다. 아침에도 공부하고,밤낮으로 과제를 하고,평일은 항상 도서관에 출근도장을 찍으며 공부하고 있다.사실 하면서도 이게맞나싶은 불안감이있다. 그래도, 뭐든 해나가면서 배우는거지.처음부터 확신을 갖는 사람이 어딨다고! 라며 세뇌중이다...ㅋㅋ ㅠ 학교 수업,쏟아지는 과제, 팀플, 영어 공부, 개발 공부, 자..

🟫 구간 합 핵심 이론 합 배열 S를 만드는 공식 S[0] = A[0] S[i] = S[i-1] + A[i] 구간 합을 구하는 공식 S[j] - S[i-1] // i에서 J까지 구간 합 ✔ 문제 001 숫자의 합 구하기 문제 바로가기 💨 JAVA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throws java.lang.Exception { // 받는 데이터가 많을때는 bufferedReader 사용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ri..

🏴 우테코 프리코스 과제 3 - 로또 요즘 이것저것 너무 바쁘다. 배울수록 나는 참 부족한 사람이구나 느끼게 된다. 🥲 시험이 끝나도 할 일이 많으니 좋은 건가. 하하. 그래도 힘들다기보다는 잘하고 싶다, 재밌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자신감을 가지란 교수님의 조언을 들었다. 이제까지 내 자신을 칭찬보다는 스스로에게 모진말을 하고 구박하며 달려왔었다. 그러나 내가 간절히 원하던 무언갈 손에 쥐고 느낀건, 성취한 찰나의 기쁨도 크지만, 거기까지의 도달 과정에도 충분한 기쁨이 있다는 거다. 어쩌면 목표를 향해 달려갈때의 불안하고 간절한 감정만큼 희망찬 감정은 없을지도 몰라. 🪜 지난 과제 피드백 & 회고 지난 과제에서는 TDD 방식의 개발을 처음으로 도전해봤다. 어설프고 아쉬운 점이 많았다.사실 테스트코드를..

🟫 배열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새로운 값을 삽입, 삭제하기 어렵다.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 리스트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한다. 다시 말해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리다.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르다.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가변 데이터를 다룰 때 적절하다.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아...환경설정 에러해결에 3시간 걸림...ㅎ버전 맞추고, 시시콜콜한 에러가 다 처음이라...ㅎㅎㅎ 그래도 결국 작동됨에 감사를... 현타오지만 담부터 똑같은 바보짓하지않으면돼~~~ 🥲 gradle.properties에 아래 추가 org.gradle.jvmargs=-Xmx1536M android.useAndroidX=true android.enableJetifier=true org.gradle.jvmargs=--add-opens java.base/java.io=ALL-UNNAMED build.gradle 버전 변경 buildscript { ext.kotlin_version = '1.6.10' repositories { google()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