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에서는 피그마 작업환경 만들기를 해본다.
먼저 계정을 생성한다. 이는 너무 간단해서 따로 정리할 필요도없었다...;;
그냥 피그마 사이트를 구글에서 검색하고 회원가입하라는 내용..ㅎ
계정생성을 하게되면, 이때부터 피그마에 접속할 수 있게된다!
피그마에 접속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보통 현업에서는 타인의 초대 링크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을 많이 쓴다고 한다.
기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ㅎ_ㅎ
그리고 로컬에 저장된 fig파일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데스크탑 프로그램을 깔 수도 있다. 위는 사양인데,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작동이 가능하다.
데스크탑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기능보다 좀더 확장된 기능을 제공한다.
때문에, 강사님은 브라우저보다 데스크탑용을 많이 쓰시고 추천하신다고 한다.
나는 지금 컴퓨터 용량이 사망이기때문에...일단 웹으로 따라가보려한다!
웹과 데스크탑 프로그램의 공통점은 일단 주요 제작기능이 동일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시간 저장이 가능하며, 화면 UI 배치도 큰 차이가 없다.
한마디로 비슷~하다는 뜻...ㅎ
하지만 차이점도 있는데, 로컬 리소스가 호환되는 게 꽤 탐나는 데스크탑만의 장점이다 ㅎ
그리고 고급 기능을 지원하며, 오프라인 저장또한 지원한다.음...이렇게 들으니 현혹되는것같다.
뭔가 꼭 깔아야 할 것만 같다...!
하지만 강사님이 필요할때 깔고 지금은 웹에서 진행해도 상관없다 하신다~~!
이제 스마트폰 미러링 앱을 설치해보자. 미러링 앱은 실제 프로토타이핑을 구동할 수 있게 지원해준다.
그리고 여러 알림 기록들과 작업기록들을 이동기기로 간편하게 볼 수 있게 지원해준다.
여기서 주의! 피그마는 아이패드를 지원하지만 안드로이드 패드는 지원안한다고한다.
하지만 난 아이패드를 가지고 있다 . 움하하 😊
모바일 앱에 figma를 설치하고 기존에 계정을 로그인하면 된다.
여기까지, 프롤로그부터 환경셋팅과 피그마의 개념등 간단한 내용을 알아봤다.
강의를 들으면서 피그마가 생각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들을수록 탐나는구만 ....! 꼭 유용하게 쓸수 있도록 열심히 배워야겠다 ㅎ
메타코드M
빅데이터 , AI 강의 플랫폼 & IT 현직자 모임 플랫폼ㅣ메타코드 커뮤니티 일원이 되시기 바랍니다.
mcode.co.kr
본 내용은 메타코드 Figma 서포터즈 강의 후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피그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상단 파일 설정 메뉴) (1) | 2024.02.12 |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권한 및 모드별 화면) (0) | 2024.02.11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파일, 페이지, 레이어 기본개념/신규 파일 생성 및 파일 불러오기) (0) | 2024.02.11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피그마 페이지 돌아보기) (0) | 2024.02.11 |
[피그마 공부] 메타코드 강의별 스터디 후기 (프롤로그) (1) | 2024.02.07 |